무한매수법4 GOLD 관련 ETF 변동성 비교 GDXU 의 변동성에 대해 정리해본 내용을 무한매수법 카페에 올렸더니 GDXU는 금 자체보다 금광회사에 투자하는 자산이고 GOLD 에 직접 투자하는 GLD 외에 다른 레버리지 종목도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챗GPT와 퍼플렉시티의 도움을 받아 관련 리스트를 뽑아보고 각각에 대한 변동성도 다시 정리해보기로 했다. 티커추종지수/기초자산2020.12.~2025.6.2023.9.~2025.6.시가총액수수료출시일CAGR변동성CAGR변동성GLD금 현물 x113.8%15.0%33.9%16.2%102B0.40%2004.11.UGL금 선물 x219.5%39.5%61.6%32.8%490M0.95%2008.12.SHNY금현물 x3 ETN--76.9%48.5%73M0.95%2023.8.DGP금 선물 x2 ETN21.9%33.9.. 2025. 7. 12. 금광 3배 레버리지 ETF, GDXU의 변동성 무한매수법으로 SOXL과 TQQQ에 투자해왔다. 두 ETF는 모두 3배 레버리지 상품이며, 주로 미국 기술주를 추종한다. 그러나 두 종목간의 상관계수가 0.9 이상으로 가격 흐름이 매우 유사해 분산 효과가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새로운 자산군을 찾던 중 TQQQ나 SOXL과의 상관계수가 0.5 정도인 비트코인 현물 2배 레버리지인 BITU를 발견해 최근 몇 개월간 포트폴리오에 포함해 운용하고 있다. 지난 4월 시장 급락 시기에도 수익을 내는 구간이 있어 분산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최근 금광 3배 레버리지 ETF인 GDXU를 알게 되었다. 금은 전통적으로 주식과 상관성이 낮은 자산이다. 여기에 3배 레버리지를 적용하면 무한매수법에 적합할 정도로 충분한 변동성이 있을 것 같아 검토하.. 2025. 7. 11. 무한매수법 백테스트 - RSI가 높으면 진입하지 않으면? 1. 들어가며무한매수법을 단리로 적용했을 경우 과거 실적이 어땠을지 궁금해서 백테스트를 해봤다. 2022년 같이 힘든 시기를 100% 피할 순 없지만 대부분의 기간에선 아주 마음 편하게 일정한 기울기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네이버카페를 비롯해 다른 블로그 등에선 이런 주장도 자주 등장한다. RSI가 너무 높을 때는, 즉 과매수 상태일 때는 진입하지 않는 게 낫다는 주장이다.예를 들어, 적립매수를 하다 목표수익률이 나와 전량 매도했다고 하자. 원칙대로라면 바로 다음날부터 새로운 사이클을 시작해 1회차 매수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그런데 매도되었다는 건 주가가 꽤 많이 오른 상황일 가능성이 높고, 그렇다면 지금은 과열된 상태일 수 있으나 당장 다시 진입하지 며칠 정도 쉬면.. 2025. 6. 6. 무한매수법 백테스트 1. 들어가며약 2년 전부터 무한매수법을 이용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지인 소개로 우연히 알게되었는데 처음엔 3배 레버리지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는데 Cost Averaging을 기본으로 하는 컨셉을 찬찬히 보고 있으니 '어...? 어? 설득력이 있는데?' 실제 시작한 시점은 2022년도 폭락장이 지나간 후였는데 지나고 보니 참 다행이다. 만일 시작하자 마자 2022년 폭락을 맞고 반년 이상 묶여있게 되었다면 학을 떼고 그냥 접어버렸을 지도 모른다. 23년, 24년 동안 야금야금 이익을 실현하면서 조금씩 투자금도 늘리고 양도소득세도 내보고 하면서 약 1년 전부턴 투자금을 1억까지 늘렸다. 그 뒤론 이익이 생기면 다른 계좌로 이체하면서 규모를 더 늘리진 않고 있다. 무한매수법도 분명 한계는 있다. 특히 장.. 2025. 5.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