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5)
한결같이
몇가지 정적자산배분 전략에 평균모멘텀스코어를 적용해보는 백테스트를 직접 정리했었는데 우연히 수식상의 오류를 발견해 전부 수정했다. 원인은... 야후 파이낸스 등에서 월간 데이터를 받아 엑셀에 표시할 때 월말 기준인 걸 월초 기준으로 잘못 알았던 게 원인이었다. 예를 들어 raw data는 '2024년 9월' 로 표시되는데 이걸 엑셀에서 불러오면 default로 '2024년 9월 1일' 로 표시한다. 그런데 실제 값을 비교해보니 '2024년 9월'의 값은 '2024년 9월 30일'의 가격이란 거다. 이렇게 되면 10월 초에 10월달의 자산비중을 계산하기 위한 모멘텀 계산 시 10월 말까지의 가격데이터를 포함해버리기 때문에 마지막 한달치는 상승인지 하락인지 미리 알고 있다는 내용이 되어 버려 백테스트 결과가..
계좌구분전략월납입금월수익률(%)평균연수익률(%)DC형 퇴직연금HAA00.6%6.2%연금저축A정적자산배분500.2%6.8%IRPBAA251.5%10.7%연금저축B정적자산배분00.0%19.7%중개형ISA고배당주0-0.5%12.8%VRTQQQ모음50-0.3%10.8%금현물-04.6%37.4%무한매수법SOXL무매-1500.0%34.7% 1) DC형 퇴직연금지난달부터 계속 주식 23%, 채권 77% 인 상태다. 의외로 미국주식이 계속 상승장이라 배가 좀 아프다... 10월 초에 계좌별 적용전략을 변경할 생각으로 9월동안 고민을 해왔고 대충 방향을 잡았다. 퇴직연금계좌는 3등분해서 BAA, 영구, 채권동적배분(안전자산 30%)로 가져가볼 생각이다. 2) 연금저축A주식 20%, 채권 70%, 리츠&골드 10% 상태인..
나스닥 2배 레버리지 상품인 QLD 관련해 이런저런 생각을 하며 분석하다 보니 좀 아쉬운 점이 2006년에 출시한 상품이라 분석기간이 길지 않다는 점이었다. 그런데 사실 QLD는 QQQ 2배 뻥튀기 한거라면서? 그럼 QQQ 데이터가 있으면 QLD를 계산할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몇가지 계산을 좀 해봤다. 일단 2006년8월을 기준으로 하여 이후의 QQQ와 QLD 실제 실적을 그려보았다. 약 18년 동안 QQQ는 1600%, QLD는 자그만치 6000%(!) 의 수익률을 보인다. 이 수익률 차이만 봐도 단순히 QQQ 의 가격이나 누적수익률을 2배 한다고 해서 우리가 원하는 QLD의 실적이 나오는 것은 아니라는 걸 알 수 있다. 단순 2배가 통한다면 QQQ가 1600% 일때 QLD는 3200% 가 나와야..
보통 백테스트 등을 위해 과거 실적들을 다운받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곳이 야후 파이낸스인데, 얼마전부터 여기서 다운로드 기능이 사라졌다. 배당금액과 수정종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유용했는데 갑자기 다운로드가 안되니 상당히 불편해졌다. 물론, 파이썬 등의 코드를 직접 만들어 필요한 데이터를 크롤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럴 여건이 되지 않는 나같은 인간은 어쩌란 말인가 하며 한숨이나 쉬고 있었는데... 우연히 간단하게 데이터를 엑셀로 붙여넣을 수 있다는 걸 발견했다.일단 다음 짧은 영상을 한번 보고 정리하자. copy & paste 순서는 다음과 같다. 야후 파이낸스와 엑셀 창을 같이 뛰운다.야후 파이낸스에서 원하는 종목과 기간, 조건(daily, monthly 등)을 선택하고 데이터를 조회한다.야후 파이낸스..
이번엔 황금나비 포트폴리오에 평균모멘텀스코어를 적용해 각자산의 비중을 조정해보자.황금나비 포트폴리오는 주식40%, 채권40%, 금20%로 구성되며 세부적으로는 SPY 20%, 미국소형가치주(IWN) 20%, 미국단기채(SHY) 20%, 미국장기채(TLT) 20%, 금(GLD) 20% 로 구성된다. 영구 포트폴리오 대비 소형가치주를 자산에 추가해 주식의 범위가 넓어졌다. 영구 포트폴리오와 마찬가지로 여기선 미국단기채를 현금으로 보고 비중을 조정해보았으며 백테스트 기간은 2006년부터이다.오리지널 황금나비의 경우, CAGR 6.4%, 변동성 8.3%, MDD -18%, 샤프지수 0.59 인데 평균모멘텀스코어를 현금율 1.0으로 적용하면 CAGR 4.6%, 변동성 4.6%, MDD -8%(!), 샤프지수 0...
1) 현금비중이 너무 높다고 느껴지면 어떻게 조정해볼까? : 현금율앞에서 systrader79님의 평균모멘텀스코어(Average Momentum Score, 이하 AMS)를 이용해 정적자산배분 전략에서 자산비중을 조정하는 방법을 간단히 요약했다. 그런데 예시로 든 60/40 전략의 경우 AMS를 도입하면 보유현금의 비중이 약 40%에 달하는 것으로 계산된다. 당연히 현금비중이 높은 만큼 안정적인 전략이 되긴 하겠지만 어떤 사람에겐 현금비중이 너무 높다고 느껴질 수도 있겠다. 그래서 현금비중을 약간 줄이되 임의로 줄이는 것이 아닌 일정한 비율만큼 줄이는 방법을 고민해봤다. 기존의 AMS 를 이용한 자산비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자산비중 = 최대비중 * 자산별AMS 여기에 0~1 사이의 값(일단 현금율..
자산 비중을 어떻게 잡고 필요시 얼마나 변경할지에 대해 고민하면서 이것저것 찾다가 systrader79 님의 블로그를 발견하고 며칠동안 열심히 읽어보았다. 그중 제일 관심이 가는 내용인 평균모멘텀스코어를 이용한 비중조절방법에 대해 정리해본다. systrader79님의 평균모멘텀스코어에 대한 내용은 링크를 참조. 동적자산배분에서 항상 등장하는 용어가 모멘텀이다. 보통 많이 사용하는 모멘텀으로 절대모멘텀과 상대모멘텀이 있다. 절대모멘텀은 지금 이 자산이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 판단하는 것이고(예: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는지, 아래에 있는지), 상대모멘텀은 다른 자산과 비교해 이 자산이 더 많이 상승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기존 문헌들에서 사용하는 모멘텀은 과거대비 10% 올랐으면 0.1, 20% 올랐으면 ..
Efficient Frontier 계산기를 이용해 나스닥을 중심으로 다우존스, 현금, 중기국채 중 하나씩을 추가자산으로 선택해 2개 자산의 비중에 대해 백테스트를 돌려봤다. 물론 QQQ로 대표되는 나스닥 지수가 최근 20여년간은 엄청난 수익을 보여왔지만 아무래도 이걸 메인 자산으로 가져가기엔 좀 불안하다. 그래서 이번엔 S&P500을 중심으로 주요 자산을 함께 고려해본다.1) 미국주식 & 미국중기채권일단 제일 널리 알려진 미국주식과 미국채권 두개의 자산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고려해보자. 60/40 전략도 나쁘진 않지만 샤프지수를 높이기 위해선 대략 SPY:IEF = 30:70 비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확실히 주식의 변동성이 채권의 3배 가까이 되다 보니 Risk Parity 전략이 드러나는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