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경제공부 (53)
한결같이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공적연금제도. 기본적인 산수만 좀 해보면 이건 제도개혁을 안할 수가 없다는 결론이 나오지만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려는 정치인은 아무도 없어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는 게 이 공적연금제도이다. 길게는 몇십년 동안 공적연금에 강제로 납입한 후 나이가 들면 국가에서 매달 연금으로 지급하게 된다. 그런데 만일 연금을 납입한 당사자가 일찍 사망해버리고 연금수령이 안된다면 남은 가족들의 생활이 힘들어진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유족연금'이다. 공적연금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제일 메이져급인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을 대상으로 유족연금제도에 대해 정리해보자. 1. 국민연금의 유족연금 먼저 몇가지 용어를 정의하고 넘어가자. 노령연금 : 국민연금 가입자가 노후에 받는 연금유족연금..
퍼펙트 포트폴리오“리스크와 보상의 균형이 완벽한, 이상적인 투자 자산 포트폴리오는 존재할까?” 이 책은 금융 분야에 가장 중요한 공헌을 한 인물 10명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 의문에 대www.aladin.co.kr 보통 투자방법론에 대해 다루는 책들과 달리 대가가 자라온 역사와 그들이 훌륭한 결과를 만들어내는 과정, 그리고 각각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하고 마지막으로 대가들이 생각하는 포트폴리오에 대한 조언을 정리한 책이다. 좀 과장해서 좋게 평가한다면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처럼 과학역사와 이론을 함께 즐길 수 있다. 금융 쪽을 전공한 사람이 아니라면 어려운 내용들일 수도 있지만 최근 관심을 많이 가지던 분야라 그런지 흠뻑 빠져들어 읽었다. 솔직히 중반 이후로는 잘 이해하지 못한 내..

이전 글에서 연금생활을 하게 되면 내야 하는 세금과 건강보험료에 대해 정리했었다.연금을 어떻게 수령하면 세금을 아낄 수 있을까? : 사적연금 수령한도 1500만원퇴직 후 건강보험료는 얼마나 내야 할까? 나름 내 기준에서 중요한 사항만 간추린다고 했지만 그래도 적다보니 설명이 복잡해보인다. 결국 중요한 건 어떤 수익에 대해 어떻게 돈이 빠져나가게 되는지, 그리고 이를 줄이기 위해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다.그래서, 노후생활 시 발생하는 수익들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건보료를 아래와 같이 정리했다. 내 경우엔 나름 세부적인 내용을 정리하며 이해했으니 아래 표만 봐도 중요한 기억을 되살리는데 문제는 없을것이다. 구분비고세금(개인별 과세)지역가입자건강보험료(세대별 합산)공적연금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종합소득세약 ..

자산배분 이야기를 하면 아마 제일 처음, 그리고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게 60/40 배분일거다. 주식에60%, 채권에 40%를 배분하면장기적으로 변동성을 줄이며 수익을 가져갈 수 있다는 오래되었지만 아직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략이다. 이 외에도 자산배분 하면 항상 주식과 채권을 분산투자하는 건 다들 기본으로 가져간다. 가장 큰 이유는 대부분 제일 주력으로 삼는 주식과 상관성이 낮은 대표적인 자산이 채권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코로나 이후 지난 최근 몇년간은 이상하게 주식이 내릴 때 채권도 같이 내리는 느낌을 받아서 좀 찾아봤더니 내가 전혀 모르고 있던 내용들이 있어 정리해본다. 1. 주식과 채권은 정말 음의 상관관계를 가질까? 1890년부터 2015년까지 주식-채권 상관계수를 나타낸 그래프를 ..

노후대비를 위해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3종세트 규모를 충분히 키우기 위한 공부를 하다보면 절세방안 못지 않게 자주 언급되는 게 건강보험료다. 열심히 연금을 많이 모았는데 막상 받다보니 건강보험료 폭탄이 터진다는 푸념이 들리는데 어떤 걸 조심해야 하는지 모르고 있어 정리해보았다. 세줄 요약! 아니, 여섯줄 요약!1. 직장에서 퇴직하고 나면 기본적으로 지역가입자가 된다. 2. 지역가입자는 사적연금을 제외한 모든 소득에 건강보험료를 부과하니 사적연금을 키우자. 3. 금융소득은 가능하면 연336만원(25.11. 적용예정) 이하로 유지하는게 유리하다. 4. 국민연금은 4%, 금융소득은 8% 정도의 건보료를 예상하면 대충 들어맞는다. 5. 건보료 계산시엔 부부의 소득과 재산을 합산하지만, 피부양자 여부 판..

1. 들어가며개인연금과 IRP의 세액공제혜택과 과세이연효과 덕에 연금계좌에 한도까지 채워서 투자하라는 조언은 조금만 찾아봐도 널렸다. 그런데 이렇게 절세계좌에서 열심히 자산을 모은 후 나중에 퇴직 후 연금을 수령할 때 내야 하는 세금에 대한 내용은 여기저기 돌아다녀봐도 복잡해서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연 1500만원을 넘지 않게 받으라는데 어떤 연금이 1500만원을 넘으면 안된다는건지, 1500만원이 넘으면 세금을 얼마나 더 내야 하는지, 국민연금 수령액은 여기에 포함되는지, 연도별 한도액이란 것도 있던데 이건 또 뭐가 다른건지 등등 한번씩은 들어본 문구들인데 막상 자세한 내용은 잘 모르고 있어서 열심히 자료를 찾아서 내가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본다.2. 연금 종류별로 다른 과세기준연금은 크게 공적연금(..

이전 글에서 해외상장ETF를 이용해 고배당주와 성장주 위주로 투자해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경우 세금에 대해 비교했다. 이번엔 조금 다른 측면에서 해외상장ETF가 아니라 국내상장기타ETF를 이용하는 경우를 비교해본다. 국내상장기타ETF는 배당금과 매도이익 모두에 대해 동일하게 배당소득세 15.4%를 과세한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몇가지 가정을 하자. 국내상장기타ETF에 직접투자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즉, 연금계좌 같은 세금혜택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주식계좌에서 KODEX S&P500나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같은 상품을 직접투자하는 경우다. 시작시점에서 해당상품의 주가는 1만원, 총 투자액은 10000만원이며 추가 투자는 없이 인출만 한다. 또한 물가상승은 없다고 가정한다.비교조건들..

최근 들어 개인투자자들에게 배당이란 단어가 매우 핫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예전엔 배당이라고 하면 1년에 한번 받는 걸 당연히 여겼는데 이제는 월배당이 아니면 잘 팔리지도 않는듯 하다. 배당을 많이 주는 고배당을 선호하기 시작하더니 이런저런 복잡한 기능을 넣어 배당을 키운 커버드콜 상품이 마구 쏟아져나오고 있다.갑자기 한국 사람들이 이렇게 배당에 목숨을 거는 건 아마도 경제는 불안하고, 노후는 걱정되다 보니 바로바로 현금을 만질 수 있다는 심리적인 안정감이 큰 이유가 아닐까 싶다.그런데... 이런 배당금은 아마도 노후 은퇴생활에서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한 것일텐데, 그냥 S&P500을 많이 모아서 야금야금 팔아서 현금을 만들면 안되나 하는 의문으로 한참 고민중이다. 그 고민 중에서 우선 세금 측면에서 한..